본문 바로가기
  • Eigenspace of Knowledge

전체 글54

[C언어] 7. 라이브러리 함수(math.h), 난수 생성 1. 라이브러리 함수 라이브러리 함수란 컴파일러에서 제공하는 함수이다.거의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의 표준입출력함수도 라이브러리 함수이다.   -math.h여러 수학 계산을 지원하는 라이브러리이다.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지원한다.   ex) 올림(ceil)함수와 내림(floor)함수 #include #include int main(){ double value = 1.6; double result; result = floor(value); //내림 printf("%lf\n",result); result = ceil(value); //올림 printf("%lf",result); return 0;}>>>1.02.0      2. 난수 생성-r.. 2024. 6. 6.
[C언어] 6. 반복문(2) - 중첩반복문, break, continue 1.중첩반복문 중첩반복문(nested loop)이란, 반복문 안에 다른 반복문이 포함되는 구조를 말한다.  for ( i = ...){    for(j =...){          문장;    }    문장;}   for (x=1; x>>***************  2. break문break문은 반복루프를 빠져나오는데 사용된다. 보통 if(조건문) break; 형태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반복문을 벗어나는 형태이다. int i;for (i=1; i>>12345  중첩반복문에서 break는 모든 반복문을 빠져나오는 것이 아닌, 해당되는 반복문만 빠져나간다. int i,j;for (i=1; i>>1234512345   3. continue문continue문은 현재 반복을 중단하고 다음 반복을 시작할 때 .. 2024. 6. 6.
[C언어] 6. 반복문(1) -while문, for문 저번 포스팅에서는 if문을 비롯한 선택구조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번 다룰 반복구조란, 조건이 만족되면 동일한 명령어를 반복하면서 실행하는 구조이다. 1. while문while (조건식) 문장; //한 문장일때  while (조건식) {    문장;} 조건식이 참인 동안에 while문 내부의 문장들이 반복 실행되는 구조이다. int i = 1;while (i     -do ... whiledo 문장; //한 문장일때while (조건식);  do {    문장;    ...}while (조건식); do 내부의 문장들을 우선 실행하고, 조건식에 맞지않으면 반복문을 나가는 형태이다. while과의 차이점은 while은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고, 실행하는 반면do while은 일단 실행한 후, 조건에 부합하.. 2024. 6. 6.
[C언어] 5. 선택문(1) - if문 1. 제어구조프로그램이 명령을 제어하는 방식은 세가지가 있다. 우선, 순차구조가 있는데, 이는 순차적으로 명령문을 실행하는 것이다. 아마 지금까지의 모든 명령어가 순차구조일 것이다. 다음으로,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선택구조란 조건을 검사하여 하나의 명령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구조이다. 마지막으로 다음에 다룰 반복구조란, 조건이 만족되면 동일한 명령어를 반복하면서 실행하는 구조이다. 2. if문if (조건식) 문장; //한 문장일때 if (조건식){    문장;} 조건식이 참이면 if문 내부의 문장이 실행되는 구조이다. if (number >=0){ printf("범자연수입니다.");}  - else if 내부의 조건식이 거짓이라면 이에 해당하는 결과가 필요한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때 else를 사용하여 .. 2024. 6. 5.
[C언어] 4(2) - 연산자(2) - 비트연산자, 연산자 우선순위 1.비트연산자비트연산자에는 비트 논리 연산, 비트 시프트 연산이 있다. 비트 논리 연산 : 비트끼리 AND, OR, XOR, NOT 연산연산자의미설명&비트 AND두 피연산자의 해당 비트가 모두 1이면 1, 아니면 0|비트 OR두 피연산의 해당 비트 중 하나만 1이면 1^비트 XOR두 연산자의 해당 비트가 같으면 0,  다르면 1~비트 NOT0을 1로 만들고 1을 0으로 만듦 비트 시프트 연산 : 비트를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이동하는 연산 (빈 자리는 0으로 채움)연산자의미설명왼쪽으로 이동지정된 개수만큼 모든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 >>오른쪽으로 이동지정된 개수만큼 모든 비트를 오른쪽으로 이동   -비트 논리 연산 연산자의미설명&비트 AND두 피연산자의 해당 비트가 모두 1이면 1, 아니면 0|비트 OR두 피.. 2024. 6. 5.
[C언어] 4. 연산자(1) - 산술, 대입, 복합대입, 증감, 관계/논리, 조건 0.시작하기 앞서이번 포스팅에서는 산술, 대입, 복합대입, 콤마 연산자와 같이 이미 알거나 다룬내용은 물론 증감, 관계, 논리, 조건, 비트 연산자 역시 다룰 것이다. -피연산자수에 따른 연산자 분류단항연산자: 피연산자 수가 1개. 대표적으로는 증감연산자가 있다.ex) x++, x--, ++x, --x 이항연산자: 피연산자 수가 2개. 우리가 다루는 대부분의 연산이 이항이다ex) x 삼항연산자: 피연산자 수가 3개. 대표적으로는 조건연산자가 있다.ex) x? y : z  1. 산술, 대입, 콤마연산자 산술연산이란 덧셈, 나눗셈과 같이 기본적인 연산을 의미한다.산술연산연산자 c에서의 수식수학에서의 기호덧셈+x+yx+y뺄셈-x-yx-y곱셈*x*yxy 혹은 x×y나눗셈 /x/yx/y 혹은 x÷y나머지%x%yx.. 2024. 6. 4.
[C언어] 3. 자료형(2) - 실수, 형 변환 1. 실수형 실수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고정소수점법과 부동소수점법이 있다. 고정소수점(fixed-point) : '소수점의 위치가 고정'이라는 의미ex) 12345.6 부동소수점(floating-point) : '소수점이 떠서 움직인다'는 의미ex) 1.23456 * $10^4$ ->1.23456e412.3456 * $10^3$ ->12.3456e3기본적으로 double 형식임(8바이트)  실수 정규화지수표기법1001.0 * $10^2$1.0e20.011.0 * $10^-{2}$1.0e-2123.4561.23456 * $10^2$1.23456e2123456.01.23456 * $10^5$1.23456e50.0000232.3 * $10^{-5}$2.3e-5 형식지정자 %e (e소문자로 출력) 혹은 %E (E.. 2024. 6. 4.
반응형